전력용 콘덴서 (Power Capacitor)
1. 전력용 콘덴서. (Power Capacitor) 정상 상태에서 전력계통 전원은 전압이 시간적으로 변하지 않는 직류전원과 시간에 대해 일정 주기성을 갖고 변화하는 정현파 교류 전원 두 가지로 구분된다.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승압, 강압이 쉽고 차단이 용이한 교류 전원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교류 전원의 전송을 위해선 선로가 필요하고 선로는 R, L, C, G – 4가지 정수 영향을 받게 …
1. 전력용 콘덴서. (Power Capacitor) 정상 상태에서 전력계통 전원은 전압이 시간적으로 변하지 않는 직류전원과 시간에 대해 일정 주기성을 갖고 변화하는 정현파 교류 전원 두 가지로 구분된다.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승압, 강압이 쉽고 차단이 용이한 교류 전원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교류 전원의 전송을 위해선 선로가 필요하고 선로는 R, L, C, G – 4가지 정수 영향을 받게 …
Δ. 전력용콘덴서 점검 및 조치방법. 1. 콘덴서 누유 2. 콘덴서 외함 팽창 3. 콘덴서 외함 녹 발생 및 도장 벗겨짐. 4. 콘덴서 부싱 오손 5. 콘덴서 케이블 접속불량 6. 콘덴서 절연저항 저하 7. 콘덴서 과전압 8. 콘덴서 과전류 9. 콘덴서 이상음 10. 콘덴서 온도상승 콘덴서 열화상 촬영.
부하역률 개선을 목적으로 수전선로에 콘덴서를 투입하게 된다. 이 때 콘덴서 투입으로 역률개선이 얼마만큼 이뤄지는지? 또한 전압상승은 얼마의 크기가 되는지 궁금할 것이다. 하여 이에 대한 해석내용을 상기에 기술한다.
에너지 저장 콘덴서. (Energy Storage Capacitor) – 무정전전원장치 (UPS) – 풍력발전 피치 컨드롤 – 골프카 및 전동카트 – 철도의 회생제동용 보조전원 – 신재생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에 사용
방전코일 (Discharge Coil) 회로 개방시 콘덴서에 충전된 잔류전하를 5초에 50V 이하가 되도록 방전하기 위해 사용한다. 콘덴서에 병렬로 설치하며 리액터 1차측(전원) 설치를 권장한다.
직렬 리액터 (Series Reactor) 리액터는 사용목적에 따라 불리는 명칭이 각기다르다 분로리액터 = 페란티 현상 억제 한류리액터 = 단락전류 제한 소호리액터 = 지락전류 소호, 무정전 송전가능 기동용 리액터 = 감압 기동전류 다운 등,,, 직렬리액터는 역률 개선회로 콘덴서 전단 or 후단에 고조파 및 돌입전류 억제를 위해 사용한다.
전력용 콘덴서 (Power Capacitor) 역률개선 및 전압보상을 목적으로 부하에 병렬로 설치 사용한다. 전력용 콘덴서는 정지형 조상설비로 진상무효전력 발생원이 된다. 전력용 콘덴서 설치시 장점은 부하전류 감소로 1). 선로 및 변압기 손실을 줄일 수 있다. 2). 부하 측 전압을 보상한다. 3). 전압변동율이 줄어든다. 4).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다. 5). 계통 고조파 흡수효과를 볼 수 있다. 6). 변압기 …